< 위험의 정의 >
위험(Risk, 리스크)

  •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발생 가능한 미래의 사건

< 위험관리의 정의 >
  • Risk가 추상적인 상태에서, 문제로 되기 전(이슈화 되기 전)에 대응책을 생각해 내는 과정이다.
  • A disciplined and systematic method of managing risk is necessary and feasible to control the quality, cost, and schedule of software products [CMU/SEI]

< 위험 발생 통제 : Trigger >
Trigger는 Risk가 현실화되는 촉발점이다.
우리는 Risk 각각에 대해 한 개 이상의 Trigger를 설정하고, 항상 감시해야 한다.

< 위험관리가 필요한 이유 >
불확실성 정도를 이해하는 것이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.



  • < 위험과 이슈의 차이점 >
이쯤에서 위험(Risk)와 이슈(Issue)의 차이점을 먼저 짚어보자.
이 둘의 정의를 정리하면 Figure 1과 같다.
 
< Figure 1 >


요컨대, Risk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확률적 사건이고, Issue는 발생해서 프로젝트의 발목을 잡고 있는 문제점이다.
결국, Risk가 발현하면 Issue가 된다고도 할 수 있다.
이것이 리스크관리와 이슈관리를 종종 혼동하는 이유이기도 하다.

출처: 양군 블로그

http://egloos.zum.com/yjhyjh/v/267034

by 완도 김사랑 2015. 3. 20. 17:18